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안성시 송전선로·LNG 건립 반대 범시민 비상대책위원회와 충남 환경운동연합은 지난 5일 충남 당진 환경운동연합 회의실에서 간담회를 열고 지역 내 송전선로 건설문제와 LNG 발전소 설립 추진에 따른 환경적, 사회적 영향을 주제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범시민 비상대책위원회 관계자와 당진 환경연합 활동가의 주요 활동사례에 대한 상호 설명과 질의 · 응답 및 열병합발전소 가동업체의 현장답사를 함께 했다.
참석자들은 송전선로 건설과 LNG발전소 건립이 가져올 환경훼손과 주민 생활권침해 문제, 그리고 에너지 정책의 지역 불균형에 대해 함께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범시민대책위원회 정효양 위원장은 “정부와 한전이 지역 주민의 의견 수렴 없이 송전선로와 LNG발전소 설립 관련 사업을 일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안성 지역의 환경적 가치와 주민의 삶의 질을 보호하기 위해 전체 피해지역의 연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당진 환경운동연합 황성렬 상임대표는 “지역 현안이 단순히 안성만의 문제가 아니라 당진 역시 송전선로와 열병합발전소 문제로 같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지역 간 연대를 통해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의 길을 함께 모색하자”라며 화답했다.
이날 간담회 중 특히 우려되는 부분은 LNG 발전소의 가동, 정지 반복 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NOx), 미세먼지 포름알데히드 등 유해물질이 인근 지역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며 장기적으로 호흡기 질환, 조기사망 증가 가능성이 있고 지역 특성상 편서풍 등 기상조건으로 인해 안성 쪽으로 배출물질이 집중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또한 발전소와 마을간 거리 3km내 구간은 직접 노출이 가능한 곳으로 발전소 운영에 따른 냉각수, 온배수 등 반도체 단지의 방류되는 공정 폐수가 인근 수계(고삼호수 등)로 유입될 경우 어류, 습지, 농업용수에 영향을 미쳐 농산물 피해, 분진 및 악취 문제가 발생되고 농약과 유사한 독성 물질의 장기적 축적은 농작물 생산성 저하를 유발하여 공사 중 발생하는 소음 분진과 함께 농업인 피해, 인근 지역주민 생활 불편·건강 문제 등의 피해 발생이 예상되는 점이다.
한편, 용인 반도체클러스터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345kV 초고압 송전선로 3개 노선이 안성에 관통 예정이고, 최대 450기 이상의 송전탑 설치 가능성으로 전자파 우려, 경관훼손, 토지가격 하락 및 농지 이용제한이 우려됨에도 졸속으로 진행한 환경영향평가서의 초안 형식에서 드러난 주민 의견 수렴 미흡, 안성시의 의견 배제 등으로 절차적 정당성이 담보되지 않은 문제에 대해 간담회에서는 ▲송전선로 노선 재검토 요구 ▲LNG 발전 대안 마련 ▲지자체의 적극적 중재 및 정보공개 강화 ▲시민 여론 수렴 절차 제도화 등의 의견이 제시됐다.
또한 비대위에서는 이 문제는 단순히 특정 지역의 이익을 넘어 미래 세대를 위한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의 문제이기에 시민이 주체가 되는 지속 가능한 대안과 향후 토론회 및 공청회개최를 통해 여론을 확산시키고, 관련기관과 한전에 공식 건의문 제출과 항의 시위를 함께 하기로 뜻을 모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