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스포츠

[제28회 KPGA 시니어 선수권대회] FR. 모중경, 와이어 투 와이어 우승…그랜드시니어 부문에서는 김정 우승

 

(뉴스인020 = 김민석 기자) KPGA 챔피언스투어의 최고 권위 대회 ‘제28회 KPGA 시니어 선수권대회(총상금 3억 원, 우승상금 4천 8백만 원)’에서 모중경(53)이 시즌 2번째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3일부터 5일 충남 태안 소재 솔라고CC 솔코스(파72. 6,955야드)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3타차 단독 선두로 출발한 모중경은 보기 2개를 기록했으나 버디 5개를 잡아내며 이날만 3타를 줄여 최종합계 13언더파 203타로 우승을 차지했다.

 

1라운드부터 3라운드까지 단 한 차례도 선두를 빼앗기지 않은 채 거둔 와이어 투 와이어 우승이다.

 

모중경은 “힘든 경기였다. 같은 조로 플레이 했던 박도규 선수가 워낙 실수가 없는 선수이기 때문에 언제든 뒤집힐 수 있는 타수 차라고 생각해 긴장을 늦추지 않았다”며 “올 시즌 출전하는 매 대회 최선을 다하고 있고 KPGA 챔피언스투어 최고 권위의 대회인 ‘KPGA 시니어 선수권대회’서 우승을 차지해 정말 기쁘다”는 우승 소감을 밝혔다.

 

이어 “아직 시즌이 많이 남은 만큼 더 많은 우승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골프 팬 여러분께서도 KPGA 챔피언스투어에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모중경은 본 대회 우승으로 올 시즌 ‘케이엠제약 시니어 오픈’에 이어 시즌 2승을 신고했고 KPGA 챔피언스투어 통산 5승 째를 달성했다. 또한 91,285.93포인트, 91,287,053원을 기록하며 KPGA 챔피언스투어 통합 포인트 및 상금순위 1위로 올라섰다.

 

KPGA 챔피언스투어 통산 2승의 박도규(54)가 최종합계 11언더파 205타 단독 2위, 박성필(53.상무초밥), 유종구(60), 오준석(53), 최호성(51.금강주택)이 최종합계 10언더파 206타 공동 3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한편 4일부터 5일까지 같은 장소의 라고코스(파72. 6,317야드)에서 열린 ‘제25회 KPGA 그랜드시니어 선수권대회(총 상금 7천만 원, 우승상금 1천 5십만 원)’에서는 김정(64)이 2년만에 ‘KPGA 그랜드시니어 선수권대회’ 우승컵을 탈환했다.

 

1타차 2위로 최종일 경기를 시작한 김정은 보기 없이 버디만 4개 추가하며 최종합계 6언더파 138타로 역전 우승을 달성했다.

 

경기 후 김정은 “컨디션이 좋지 않았지만 ‘최선을 다하자’는 마음으로 경기에 나섰다”며 “2년만에 다시 ‘KPGA 그랜드시니어 선수권대회’ 우승을 해 기쁘다. 아내를 비롯하는 가족들과 제자 선수들에게 고마움을 전한다”는 소감을 밝혔다.

 

한편 ‘영원한 현역들의 무대’인 KPGA 챔피언스투어는 이번 달 23일부터 24일까지 양일간 충북 청주 소재 그랜드CC에서 진행되는 ‘제14회 그랜드CC배 KPGA 시니어 골프대회’로 그 여정을 이어간다.

배너


전체뉴스

더보기

경기도

더보기
광양기후환경네트워크, 폐현수막 재활용 앞치마로 매실 농가 지원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광양시는 매실 수확철을 맞아 광양기후환경네트워크(상임대표 박병관)가 폐현수막을 재활용해 제작한 매실 수확용 앞치마를 광양시연합매실연구회에 전달했다고 23일 밝혔다. 앞치마는 광양기후환경네트워크 회원들이 지역 내에서 폐현수막을 직접 수거한 뒤 세척·재단해 수확 작업에 적합하게 제작한 것으로, 관내 농가에 배부돼 매실 수확 현장에서 활용될 예정이다. 광양기후환경네트워크는 비산업부문 온실가스 감축 등 저탄소 녹색사회 실현을 목표로 하는 기구로, 민·관 협력을 바탕으로 탄소중립 실천 교육, 자원순환 캠페인 등 다양한 환경 활동을 전개하며 시민 참여를 확대하고 있다. 우미자 광양시 스마트원예과장은 “이번 앞치마 기부는 지역 민간단체와의 협력을 통해 환경 보호와 농가 지원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이룬 사례”라며 “농가 작업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폐현수막의 매립과 소각을 줄여 환경 보호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도 다양한 기관·단체와 협력해 탄소중립 실현과 지속가능한 지역사회 조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광양시는 고령화와 인력난으로


문화예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