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스포츠

‘U-20 캡틴’ 전유경 “한국 여자축구 경쟁력 알리고 올 것”

 

(뉴스인020 = 김민석 기자) 여자 U-20 대표팀의 ‘캡틴’ 전유경(위덕대)이 아시안컵에서 좋은 성적을 거둬 여자축구를 더 알리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박윤정 감독이 이끄는 여자 U-20 대표팀이 지난 19일부터 25일까지 전남 강진에서 2024 AFC U-20 여자 아시안컵 대비 최종 훈련을 진행했다. 마지막 담금질을 마친 여자 U-20 대표팀은 지난 27일 오후 3시 35분 인천공항을 통해 격전지 우즈베키스탄으로 출국했다. 소집 명단은 23명으로 구성됐다.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열리는 2024 AFC U-20 여자 아시안컵은 3월 3일부터 16일까지 진행된다. 8개국이 참가해 4팀씩 2개 조로 나뉘어 조별리그를 치른 후 각 조 1,2위를 기록한 4개 팀이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한국은 개최국 우즈벡을 비롯해 호주, 대만과 A조에 편성됐으며 3일 호주, 6일 대만, 9일 우즈벡을 차례로 상대한다.

 

소집 훈련 중 진행된 인터뷰에서 전유경은 “이전에도 몇 차례 대회에 나갔지만 내가 주축이 돼서 메이저 대회에 출전하는 건 처음이다. 그만큼 이번 아시안컵은 중요하면서도 간절하다. 반드시 아시안컵에서 우승하여 돌아오고 싶다”고 전했다.

 

전유경은 여자 U-20 대표팀의 주득점원 중 한 명이다. 전유경은 작년 소속팀에서 춘계한국여자축구연맹전 득점왕을 거머쥐었고, 지난 12월 우즈벡 원정 2연전에서는 총 2골을 터뜨리며 발끝을 예열했다. 이밖에도 과거 U-17 대표팀 소속으로 8경기 8득점을 기록하는 등 꾸준한 득점 감각을 보여준 그는 이제 아시안컵을 정조준한다.

 

그는 “소속팀에선 득점에 대한 부담을 잘 느끼지 않았다. 하지만 이곳은 대표팀인 만큼 부담이 없다면 거짓말이다. 그 부담을 이겨내는 게 내 숙제가 아닐까 싶다”며 “지난 우즈벡전과 중국전이 좋은 모의고사가 됐다. 특히 중국 선수들은 신체 조건이 좋았는데 확실히 국내에서 느낄 수 없던 것들을 배웠다. 아시안컵에서도 골을 기록할 자신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전유경은 “동료들 중에서도 득점 감각이 좋은 친구들이 많다. 하지만 그런 주전경쟁이 각자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다. 감독님께서 침착한 마무리를 강조하시는 만큼 주문을 잘 수행해 공격수로서 좋은 모습을 보이고 싶다”고 답했다.

 

여자 U-20 대표팀에서 맏언니인 전유경은 주장으로 아시안컵에 출전한다. 그는 “주장이라고 해서 딱히 부담은 없다. 동료들이 나를 잘 따라주고 팀 분위기가 워낙 좋다”며 “내가 카리스마가 있는 주장은 아니다. 대신 선수들을 잘 포용해 팀이 잘 단합할 수 있도록 돕는 편이다”라고 설명했다.

 

배예빈(위덕대)과 함께 2022 FIFA U-20 여자 월드컵을 경험한 그는 이번 아시안컵을 통해 여자축구를 더 알리고 싶다고 전했다. 전유경은 “지난 U-20 여자 월드컵에선 조별리그에서 탈락해 많이 아쉬웠다. 이번 대회에 대한 간절함이 큰 이유이기도 하다”며 “아시안컵에서 좋은 성적을 거둬 한국 여자축구가 경쟁력이 있다는 걸 알리고 싶다”고 다짐했다.

배너


전체뉴스

더보기

경기도

더보기
화성특례시의회, 2025 사회적경제 주간행사 참석.... “사람 중심의 경제도시, 시민과 함께 만들겠다”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화성특례시의회는 4일, 화성시민대학 계단식 강의실에서 열린 '2025 화성특례시 사회적경제 주간행사'에 참석해 지역 마을공동체의 상생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사회적경제 활동가들의 헌신과 열정에 감사의 뜻을 전했다. 이날 행사에는 배정수 의장을 비롯해 장철규 기획행정위원장, 배현경·송선영·이용운 시의원이 참석했고 사회적 경제 네트워크 관계자와 시민 등 약 80명이 함께 했다. 이번 행사는 '사회적기업 육성법'과 '협동조합 기본법'에 따라 매년 7월 첫째 주를 사회적 경제 주간으로 지정한 데 따른 것으로, 기념식과 사회적 경제 포럼, 시민참여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해 진행됐다. 배정수 의장은 축사를 통해 “사회적 경제는 단순한 경제활동을 넘어 연대와 협력, 나눔과 상생의 가치로 지역 문제를 해결하고, 따뜻한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든든한 힘이다”이라고 말했다. 이어 “사람 중심의 경제도시 화성을 함께 만들어가기 위해 시민 모두가 주인공이 되어야 한다”며, 화성특례시의회는 앞으로도 사회적경제가 더욱 성장할 수 있도록 제도적·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