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하나은행, '하나의 여행 적금' 출시

 

 

하나은행(은행장 박성호)은 코로나19로 지친 손님들의 마음을 여행 설계로 힐링할 수 있도록 하나투어와 제휴해 '하나의 여행 적금'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하나의 여행 적금'은 하나투어의 여행 서비스와 하나은행의 금융서비스를 결합한 협업상품으로 1인 1계좌로 최저 1만 원부터 최대 100만 원까지 월 납입 가능하며, 가입 기간은 1년이다.

 

기본금리 1.1%에 우대 금리 0.2%, 특별금리 1% 적용 시 최대 금리는 2.3%(2021년 4월 30일 기준, 세전, 연이율)이다.

 

가입 고객은 금년말까지 하나투어 전용 페이지를 통해 별도의 예약금 없이 사전 여행 예약이 가능하며, 오션 뷰, 라운딩 등 특전이 포함된 전용 상품을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예약한 여행상품을 이용한 손님은 하나투어에서 현금처럼 사용 가능한 마일리지 5%를 제공하며, 여행 후 발급된 확인 번호를 하나은행에 등록하면 특별금리 1%를 추가로 적용받을 수 있다.

 

더불어 여행 대금을 하나카드로 결제 시 2% 캐시백과 함께 최대 6개월 무이자할부 등 풍성한 혜택이 제공된다.

 

하나은행은 '하나의 여행 적금' 출시를 기념해 '하나의 여행! 하나의 패키지!' 이벤트를 오는 6월 말까지 진행한다. 이벤트는 혜택별로 ▲여▲행▲지▲금 4가지 키워드로 진행된다.

 

▲여!기 같이 가자 이벤트는 검색사이트나 하나은행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게시된 '여행 적금 가입하자' 게시물을 타인의 SNS로 공유 시 아이스크림 기프티콘을 선착순 5천 명에게 증정한다.

 

▲행!운 타임(Time) 이벤트는 5월 4∼12일 오전 11시∼오후 1시 사이에 하나원큐를 통해 여행 적금에 가입한 선착순 500명에게 스타벅스 쿠폰 1매를 증정한다.

 

▲지!금 환전하자 이벤트는 여행 적금에 가입하고 환전지갑을 이용해 미 달러를 환전하는 선착순 1만 명에게 최대 100만 원 한도까지 환전수수료 90% 우대와 추가 10% 캐시백을 제공하는 수수료 전액 면제 혜택을 제공한다.

 

▲금! 다다익선은 여행 적금 누적 가입 손님이 1만 명, 10만 명, 20만 명 돌파 시 각각 금 한 돈/여행지원금 10만 원/여행지원금 50만 원 등 풍성한 경품을 추첨해 제공한다.

 

하나은행 리테일사업지원섹션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지친 손님들이 여행의 꿈을 설계하며 일상을 행복을 누리도록 신상품과 이벤트를 준비했다"며 "향후에도 손님의 기쁨을 함께할 수 있는 테마상품과 서비스를 지속해서 출시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하나의 여행 적금'은 영업점 및 비대면 채널 모두 가입 가능하며, 모바일 뱅킹 하나원큐에서는 내달 4일부터 가입할 수 있다.

 

상품 및 이벤트 관련 자세한 내용은 하나은행 홈페이지 및 모바일 하나원큐에서 확인하면 된다.

 

 

 

배너


전체뉴스

더보기

경기도

더보기
용인특례시의회 의원연구단체 '용인, 축제를 eat(잇)다 연구회', 연구용역 중간보고회 개최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용인특례시의회 의원연구단체 ‘용인, 축제를 eat(잇)다 연구회’(대표 장정순)는 25일 의회 4층 대회의실에서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열고,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점검하는 한편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보고회를 위해 연구용역 수행기관인 경기대학교 관광문화콘텐츠학과 연구팀은 ▲용인시 축제 현황과 관광 여건 ▲전국 지역축제 사례와 지원 정책 ▲축제 트렌드 등을 종합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용인을 대표할 수 있는 축제 개발의 기본 구상 및 설계 방향을 발표했다. 이날 회의에는 연구단체 대표 장정순 의원과 간사 기주옥 의원을 비롯해 김상수·김희영·황재욱 의원이 참석했으며, 연구책임자인 김창수 교수와 하정우 교수가 중간보고를 맡았다. 또한 용인시 축제 및 먹거리 관련 부서 공무원들도 참석해 연구 과정을 함께 검토하고, 실질적인 성과 도출을 위한 의견을 교환했다. 기주옥 간사는 “용인만의 지역적 특색을 살린 축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며 “실질적인 구상 단계까지 연구 결과물이 도출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상수 의원은 “남은 기간 동안 구체적인 축제


문화예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