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 안성맞춤 동아시아 문화예술 행사 성공적으로 추진 중

안성의 가을을 물들인 동아시아 문화예술, “문화도시 안성에서 동아시아를 만나다”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안성시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지원으로 추진되는 민간 중심의 동아시아 문화예술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 중에 있다고 9월 15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한중일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의 전통과 현재 그리고 미래의 문화예술을 만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지난 8월부터 추진되고 있다.

 

안성시 주최, 안성문화원 주관하는 이번 사업은 동아시아 문화예술의 교류와 평화, 연대를 주제로 추진되고 있다. 특히 이번 사업은 기획 단계부터 시민동아리·다문화가족·마을공동체·동네책방·안성문화예술인 등 다양한 안성의 시민공동체가 참여, 민간 중심의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번 사업은 주사업인 ‘안성맞춤 동아시아 문화예술 박람회’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거리문화 축제 ▲동아시아 마을에서 문화를 찾다 ▲문학으로 만나는 동아시아 문화 ▲동아시아 평화공감 프로젝트 ▲중일 방문단 안성을 살다 ▲Meta Asia, 전통으로 미래를 그리다 ▲한중일 삼색문화 건강페스티벌 등 다양한 부대사업으로 구성됐다.

 

지난 8월 14일부터 매주 진행되고 있는 ‘문학으로 만나는 동아시아 문화’ 행사는 중국 위화 작가의 ‘인생’, 일본 무라세 다케시 작가의 ‘세상의 마지막 기차역’ 등 동아시아 문학을 안성의 동네책방과 문화예술인이 함께 소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지난 9월 6일 성황리에 마친 ‘동아시아 평화공감 콘서트’는 정태춘·박은옥 가수를 비롯한 한중일 문화예술인이 평화를 주제로 수준 높은 공연을 선보여 관람객의 큰 호응을 받았다.

 

조선3대시장인 안성장을 주제로 안성의 마을공동체가 참여하는 ‘동아시아 마을에서 문화를 찾다’ 행사는 동막골마을, 신장리마을, 기좌리마을, 인처골마을, 청룡마을에서 지난 9월 6일부터 오는 10월 18일까지 진행되고 있다. ‘동아시아 거리문화 축제’는 9월 14일 낙원역사공원에서 첫 번째 행사를 성황리에 개최했으며, 오는 10월 25일에는 6070추억의 거리․안성천 일대에서 두 번째 행사가 열릴 예정입니다. 이번 행사에는 안성 시민동아리들이 참여해 다양한 공연과 체험 프로그램을 선보이며, 풍성한 동아시아 문화의 매력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안성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이 참여, 오는 9월 21일 안성천 일대에서 펼쳐지는 ‘한중일 삼색문화 건강페스티벌’은 한중일의 식생활·건강 관련 문화를 체험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Meta Asia, 전통으로 미래를 그리다’ 행사는 미디어분야 전문노하우를 가진 안성미디어센터가 참여, 동아시아 전통을 미래 기술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오는 11월 8일까지 교육·전시프로그램으로 진행된다.

 

주사업인 ‘안성맞춤 동아시아 박람회’ 안성은 물론 동아시아의 문화예술인이 참여, 각국의 문화예술을 홍보하고 교류하는 방식으로 대한민국 문화의 날인 오는 10월 18일 내혜홀광장에서 진행된다. 이날 행사에서는 공연, 버스킹, 체험부스, 지속가능한 온라인·모바일 플랫폼 등을 통해 동아시아의 다양한 문화가 시민들에게 선보여질 예정이며, 문화강국 대한민국을 알릴 수 있는 문화의 날 기념식도 연계·추진될 계획이다.

 

김보라 안성시장은 “문화강국 대한민국, 문화도시 안성의 우수한 문화를 동아시아에 선보이기 위해 다양한 사업을 준비해 주신 안성문화원을 비롯한 시민공동체와 모든 안성시민 분들께 감사드린다”며, “2025년 가을, 동아시아 문화도시 안성에서 펼쳐지는 다채로운 행사에 많은 시민 분들이 참여, 우수한 문화를 체험하고 좋은 추억을 만드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배너


전체뉴스

더보기

경기도

더보기
여수시의회 송하진 의원, “정부조직개편 기후환경에너지부 신설에 맞춰 ESS 에너지자립섬 추진해야”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여수시의회 송하진 의원(무소속, 미평·만덕·삼일·묘도)은 9월 16일 열린 제250회 여수시의회 임시회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정부조직 개편과 COP33 유치 경쟁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전략으로 ‘ESS 에너지자립섬’ 정책을 제안했다. 송 의원은 “사도와 추도의 송전탑은 천혜의 자연경관을 훼손하는 흉물”이라며 “이제는 송전선 없이도 전력을 자급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가 에너지 기능을 환경부로 이관·확대해 기후환경에너지부를 신설하려는 것은 산업 중심의 정책을 넘어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중심으로 전환하는 상징적 변화”라며, “분산형 전력망 구축과 ESS 인프라 확충은 여수시 정책 여건과 맞닿아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송 의원은 “고양특례시와, 포항시 등이 COP33 유치전에 뛰어든 가운데, 포항시는 ‘기후산업도시’ 전환을 선언하며 강력한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며 “여수시는 기후위기 대응을 실천하는 도시로서 차별화된 실행 전략을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ESS(에너지저장장치)를 활용한 에너지자립섬 정책에 대해 “ESS는


문화예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