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충남/교육청

경기도 초임교사의 학교적응 실태가 궁금하다!

초임교사 진로 선택 만족도 높아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경기도교육연구원(원장 이수광)은 경기도 초임교사들의 학교 적응 실태를 알아보고, 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초임교사 학교적응 진로 멘토링 실시 방안 연구」(연구책임 초빙연구원 정종희)보고서를 발간하였다.

 

발령 1~3년차인 초임교사 3,420명, 경력교사 4,32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초임교사의 진로 선택 만족 비율은 74%이며, 남자교사(79.1%)가 여자교사(71.9%)보다 더 높고, 사립학교 교사(81.3%)가 공립학교 교사(73.2%)보다 높았으며, 기간제 교원(80.3%)이 정규교원(72.1%)보다 높았고, 초임교사보다는 경력교사(81.80%)가 더 높게 나타났다.

 

초임교사 재직학교 만족 비율은 66.2%로 나타났으며, 남자교사(72.9%)가 여자교사(63.9%)보다 높았고, 사립학교 교사(74.1%)가 공립학교 교사(65.6%)보다 높았으며, 기간제 교원(78.1%)이 정규교원(63%)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경력교사의 만족도 비율은 78%로 초임교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임교사 전직을 생각해 본 경험 비율을 묻는 문항에 대해 경험 있음이 34.9%로 나타났으며, 여자교사(38.3%)가 남자교사(25.2%)보다 높았고, 경력에 따라서는 1년차(27.3%), 2년차(41%),3년차(40.9%)로 점차 높게 나타났다. 포기하고 싶은 이유는 교사인권 경시가 31%, 처우 및 보수 만족도 저하가 20.8%, 업무과다가 20.4%, 적성문제가 11.2%로 조사되었다.

 

초임교사의 소통능력 상황을 조사한 결과, 학생과의 소통은 74.8%가 좋음으로 응답하였고, 학부모와의 소통은 48.5%, 동료교사와의 소통은 68.5%로 조사되었다. 학교업무 수행능력은 본인의 수업만족도는 41.1%이고, 온라인 수업 숙련도는 44.9%, 행정업무 처리능력에 대해서는 37.5%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어려운 교직 업무는 학생생활지도(28.2%), 학부모 응대(21.9%), 행정업무(18.7%), 수업 및 평가(11.8%) 순으로 나타났다.

 

초임교사의 경우 스트레스 정도가 극심하다고 답한 비율은 여자교사(37.5%)가 남자교사(29.7%)보다, 공립학교 교사(36%)가 사립학교 교사(28.7%)보다, 정규교원(37.4%)이 기간제 교원(28.4%)보다 각각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스트레스 원인 제공자 1위는 학생(30.5%)이며,학부모(29.1%), 관리자(16.5%), 동료교사(10.2%) 순으로 나타났다.

 

멘토링 경험 비교 결과 초임교사는 72.3%, 경력교사는 58.1%로 조사되었으며, 멘토링 효과성 예측에 대해서는 초임교사의 65.9%, 경력교사의 78%가 효과 있다고 응답하였다. 멘토링 참여 의향에 대해서는 초임교사의 경우 50.6%, 경력교사는 49.4% 참여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책임자인 정종희 초빙연구원은 초임교사의 학교 적응도를 높이고 교사 효능감을 제고하기 위한 “초임교사 학교적응 진로 멘토링 실시 방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초임교사 및 경력교사에게 업무 부담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체계적인 진로 멘토링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구체적 실행 방안 마련을 위한 후속 연구 진행이 필요하다.

 

둘째, 멘토 교사로 참여하는 교사에게 학교 내에서 자유롭게 진로 멘토링을 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 그리고 예산 확보 등을 위해 교육청은 적극적 지원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우수 멘토 교사 양성제도 운영과 이들에 대한 적절한 보상 방안 개발 등 다각적인 정책개발이 필요하고, 멘토와 멘티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상호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넷째, 조직문화 혁신, 상호 성장 및 지원, 나눔과 협력, 상생, 그리고 전인성 등의 교직문화 창달을 위해 체계화된 진로 멘토링이 보급되어야 한다.

배너


전체뉴스

더보기

경기도

더보기
안산시의회 의원연구단체, ‘소소한 연구모임’,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개최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안산시의회 의원연구단체 ‘소소한 연구모임(대표의원 현옥순)’이 지난 23일 의회 대회의실에서 안산 골목상권의 지속가능한 성장 방안을 모색한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보고회에는 ‘소소한 연구모임’ 소속 현옥순 설호영 이진분 최찬규 의원을 비롯해 안산시 소상공인지원과장, 안산상권활성화재단 대표이사, 용역 연구기관 관계자 등이 참석했으며, 보고회에서는 그간 진행해온 연구 결과 공유와 실질적인 정책 반영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이번 연구용역은 지난 6월부터 약 4개월 동안 한국지역정책개발원이 수행했으며 ▲안산시 골목상권 현황 ▲주요 수요층 분석 ▲지역자원 활용 방안 ▲상인‐주민‐행정기관 간 협력 강화 방안 등을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성남시 우수사례 벤치마킹 과정을 거쳐 실현가능한 ‘안산형 골목상권 발전모델’을 최종적으로 도출했다. 특히 성남시 벤치마킹을 통해 골목상권 브랜드화의 필요성을 확인한 연구단체는 ▲‘(가칭)셀렉토어 안산 오디션 조성’을 통한 로컬 브랜드 발굴 ▲ 안산시 지역화폐와의 연계 확대 ▲ 개별 골목상권 지원의 근거 마련을 위한 조례안 제정을 핵심 과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