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교육

국세청, 종합소득세 납부기한 직권연장

특별재난지역 소재 납세자 납부기한 직권연장: ~ 2025.9.1.(월)

 

(뉴스인020 = 김나현 기자) 납세자를 위한 적극행정

납부기한 직권연장 (~9.1.(월))

납부기한만 자동 연장되는 것이므로, 종합소득세 6.2.(월)까지 필수 신고.

※ 성실신고확인 대상자 6.30.(월)까지 신고.

 

[직권연장 대상]

① 특별재난지역 소재 납세자.

다음 특별재난지역에 사업장을 둔 사업자 및 주소를 둔 납세자.

- 산불(경남 산청·하동, 경북 의성·안동·청송·영양·영덕, 울산 울주, 3.22.~27).

- 전투기 오폭 사고(경기 포천 이동면, 3.8.).

-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전남 무안, '24.12.29.).

 

②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 사고 피해자 및 유가족.

 

③ 수출 중소기업.

다음 하나에 해당하는 수출 중소기업 중 전년 대비 매출 감소한 사업자.

- '24년 수출액 5억 이상이고, 수출액이 매출액의 50% 이상.

- 관세청·KOTRA가 선정한 수출 중소기업.

* 단, 금융소득 2천만 원 초과자 제외.

 

※ 홈택스·손택스의 신고도움서비스에서 연장 여부 확인 가능.

 

꼭 확인하세요!

신청에 의한 기한연장

직권연장 외에도, 경영상 어려움이 있는 납세자.

→ 신고·납부기한 연장 신청 가능.

 

[신청방법]

· 홈택스(PC)

증명·등록·신청 → 세금관련 신청·신고 공통 분야 → 신고·납부기한 신청

 

· 손택스(모바일)

국세증명·사업자등록·세금관련 신청/신고 → 세금관련 신청·신고 공통 분야 → 신고기한 연장 신청

 

- 간편하게 홈택스·손택스로 신청.

- 최대 9개월까지 기한 연장.

 

잊지 말고 간편하게!

개인지방소득세 신고·납부

종합소득세(국세)를 신고·납부하는 납세자는 6.2.(월)까지 개인지방소득세(지방세)를 지방자치단체에 신고·납부.

 

[신청방법]

1단계 - 홈택스/손택스 접속

2단계 - 종합소득세 신고

3단계 - 신고내역조회 → 지방소득세 신고 이동

4단계 - 위택스 연계 신고

※ 위택스 신고 운영시간도 홈택스와 동일.

 

모두채움 납세자는 위택스에서 지방소득세를 신고할 필요 없이 안내문 하단에 기재된 가상계좌로 개인지방소득세액을 납부하면 신고한 것으로 간주.

 

꼭 기억하세요!

납세자를 위한 세정지원

어려움에 처한 납세자를 위해 개인지방소득세의 납부기한을 종합소득세와 동일하게 연장!

 

· 납세자가 세무서로부터 납기 연장 승인을 받았다면?

→ 개인지방소득세 납부기한 자동 연장.

* 지자체에 별도 신고 X

 

앞으로도 다양한 납세 편의 제도를 발굴하여 납세자가 신고·납부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배너


전체뉴스

더보기

경기도

더보기
경기북부보훈지청, 광복 80주년 계기 독립유공자 묘소 지역별 참배 실시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경기북부보훈지청은 국가보훈부 사업인 ‘광복 80, 독립유공자 묘소 참배 캠페인’의 일환으로 관내 지역인 파주시의 독립 묘소들을 지난 5월 13일에 참배했다. 광복 80주년을 맞이하여 진행되는 이번 캠페인은 독립유공자들에 대한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담아 연중 행사로 시행되고 있다. 경기북부보훈지청의 직원들은 1919년 3월 1일 파고다공원에서 일어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했던 故유화진 지사(대통령표창), 1943년 김해군 시국강연회 회의장에서 징용은 일본인이 솔선수범하라며 반박했던 故박재홍 지사(애족장), 1944년 8월 태평양전쟁에서 일본군이 패전할 것이며 시기가 도래하면 조선인 중 독립운동에 참여하지 않을 자가 없다는 언설을 유포했던 故박무병 지사(애족장)의 묘소를 찾아 소형 태극기를 비치하고 국화를 헌화한 후 묵념의 시간을 가졌다. 또한 1920년 ‘대한독립만세’, ‘조선독립만세’라고 기재한 선전문을 일본인 상점에 부착하고 읍내 여러 곳에 대한독립만세 문구를 적다 체포됐던 故김형준 지사(대통령표창), 1919년 3월 동민 수백명을 규합하여 광탄면사무소 앞에서 독립만세시위를 주도했던 故남동민 지사(대통령표


문화예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