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교육

행정안전부, 불필요한 인감증명서 요구 대폭 정리했습니다!

 

(뉴스인020 = 김나현 기자) ■ 인감증명서 제출로 국민 불편 초래

행정기관에서 단순 본인확인 등 불필요한 경우에도 인감증명서를 요구하는 사례가 많았습니다.

 

■ 인감증명 요구사무 정비계획 수립

- '23.9월 중앙부처 및 지자체 인감증명 요구사무 2,608건 발굴

- 기관 협의를 통해 필요성이 낮은 2,145건을 대상으로 정비 추진

 

■ 총 2,153건의 요구사무 정비 완료!

- 인감증명서를 제출하지 않도록 한 사무는 918건

- 본인서명사실확인서나 신분증 사본 등으로 대체한 사무는 1,135건

 

■ 구비서류에서 인감증명서 삭제

참전사실확인 신청 시 구비서류에서 인감증명서 삭제

(참전업무처리 훈령 개정)

 

■ 본인서명사실확인서로 대체

자동차해체재활용업자를 통한 자동차 폐차 요청 시 본인서명사실확인서로 인감증명서 대체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개정)

 

■ 신분증 사본으로 대체

군 비행장 등 소음피해 보상금 신청 시 신분증 사본으로 인감증명서 대체

(군소음보상법 시행규칙 개정)

 

이번 정비를 통해 국민의 편의와 정부의 효율성이 제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배너


전체뉴스

더보기

경기도

더보기
수원특례시의회 김소진 의원, “복지관 운영위원회 방치 문제 지적.. 청년 장애인 주거정책 마련 촉구”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수원특례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소진 의원(국민의힘, 율천·서둔·구운·입북동)은 지난 28일 열린 제397회 제2차 정례회 시민복지국 행정사무감사에서 사회복지관 운영위원회 운영 실태 문제와 청년 장애인 주거 문제에 대해 집중 질의했다. 김 의원은 사회복지관 운영위원회 운영 실적을 점검한 결과, 위원장과 당연직 위원 등의 참석률이 매우 저조한 상황을 지적하며, “해당 문제는 지난해 행정사무감사에서 지적된 사항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사례가 반복되고 있다는 것은 매우 심각한 문제”라고 비판했다. 이어 “복지관 주요 안건을 심의하는 중요한 회의임에도 관계 공무원 등 당연직 위원의 참석률까지 낮아 운영위원회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며, “운영위원들의 참석을 필수화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과 책임성 강화를 위한 개선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김 의원은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체험홈과 관련해, “추가 입주 요구가 있음에도 공급이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수요에 부합하는 체험홈 확충과 실질적 지원 방안 마련을 요청했다. 아울러 김 의원은 청년


문화예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