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

산업통상자원부, ‘백금’의 숨겨진 비밀

 

(뉴스인020 = 김나현 기자) [자원박물관]

귀금속부터 산업용까지? 천대받던 백금의 인생역전!

 

금보다 희귀하고 비싼 금속

 

백금(白金), 하얀색 금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사실 우리가 생각하는 ‘금(金)’과는 전혀 다르답니다.

금보다 희귀하고 단단하며 값비싼 금속이죠.

 

백금, 수난의 시대

 

과거 백금은 환영받지 못하던 금속이었습니다.

녹는점이 은보다 두 배 이상 높아 가공하기 어려워 불완전한 은이라 여겨 광산을 폐쇄하기도 했죠.

 

버려지던 금속의 환골탈태

 

하지만 과학 발달에 따라 백금은 가치를 인정받기 시작했는데요.

1752년 스웨덴 화학자 헨리크 셰퍼는 백금이 금보다 단단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고 지금은 금과 은보다 더 높은 등급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답니다.

 

변하지 않는 중꺾마 금속

 

백금은 열 등 외부 환경에 큰 변화가 없습니다.

그렇다보니 녹는점이 무려 1,768°C로 직접 가공은 어렵지만 초고온 물질을 가공하거나 담기에 적합하죠.

경도가 높아 반지, 팔찌, 고급 시계 등의 소재로도 대접받고 있고요.

 

촉매후보로 맹활약하다

 

백금의 빼놓을 수 없는 역할 중 하나가 바로 촉매입니다.

디젤 자동차는 주행 중 일산화탄소와 산화수소 등 오염물질을 배출하는데 백금이 코팅된 촉매변환기가 이들을 98% 이상 정화해주죠.

또한 정유 산업에서는 석유 제품을 분해하고 화학 산업에서는 질산의 합성을 돕는 등 대표적인 촉매로 활약 중입니다.

 

백금(Pt)

귀금속뿐 아니라 산업용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네요.

다음 시간에 더 놀라운 자원으로 돌아오겠습니다!

잊지 말고 기다려주세요~

배너


전체뉴스

더보기

경기도

더보기


문화예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