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문화

금융위원회, 위메프-티몬 정산지연 피해판매자 지원방안

 

(뉴스인020 = 김나현 기자) 위메프-티몬 정산지연 피해판매자 지원방안 시행 관련 카드뉴스입니다.

 

Ⅴ 정산지연 피해기업 대상 만기연장· 상환유예 지원

 

① 기존대출·보증에 대해 최대 1년 만기연장 지원(8월 7일부터)

 

▲ 대상기업

티몬·위메프 정산지연 대상기간(5월 이후) 중 매출이 있는 기업

 

▲ 대상대출

8월 7일 이전에 받은 모든 금융권 대출 및 정책 금융기관 대출

· 금융권

은행, 생명보험, 손해보험, 여신금융, 저축은행, 상호금융

(농협, 수협, 산림조합, 신협, 새마을금고)

· 정책금융기관

산은, 기은, 중진공, 소진공, 신·기보, 지신보

※ 주택담보대출, 개인신용대출 등 가계대출은 제외됩니다.

 

▲ 확인방식

티몬·위메프 입점기업이 현재 자신의 판매자 페이지를 통해 5월 이후 매출사실 입증시 폭넓게 지원

 

▲ 신청방법

거래하고 있는 금융회사의 영업점 방문을 통한 접수

*조회한 매출사실을 접수 창구에서 확인

 

② 선정산대출 기한연장 및 상환유예 지원 (신한·국민·SC은행, 8월 7일부터)

 

▲ 대상기업

티몬·위메프 매출을 근거로 선정산대출을 받은 기업

 

▲ 대상대출

대상 사업자· 법인이 보유한 선정산대출

 

▲ 지원내용

연체가 발생하지 않도록 만기연장 및 상환유예

 

▲ 신청방법

은행 창구를 통해 신청(신한·국민·SC은행)

 

이번 만기연장 및 상환유예는 7월 10일 ~ 8월 7일 발생한 연체가 있어도 지원할 계획이니 꼭 신청하세요!

※ 기존엔 원리금 연체, 폐업 등 부실이 있다면 지원 불가

 

Ⅴ 정책금융기관의 유동성 지원 프로그램

 

① 3,000억원+@의 협약프로그램

(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8월 9일부터)

② 2,000억원 긴급경영안정자금 지원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8월 9일부터)

 

Ⅴ 긴급대응반 운영계획

 

금융위원회·중소벤처기업부, 금융감독원 및 정책금융기관, 모든 업권별 협회는 긴급대응반을 편성하여 수시로 긴밀하게 협의하고 있으며, 자금집행과정에서도 피해기업의 어려움을 경감할 수 있도록 지속 운영할 예정입니다.

 

상담센터를 통해 자금지원 및 애로사항 접수 등 필요사항에 대해 종합적인 컨설팅을 제공합니다.

 

'금융감독원 상담창구'

- 종합상담센터 1332 (내선 6번)

- 강릉 033-642-1904

- 부산·울산 051-606-1700, 1701

- 경남 055-716-2330

- 대구·경북 053-760-4000

- 제주 064-746-4200

- 광주·전남 062-606-1600

- 전북 063-250-5000

- 대전·세종·충남 042-479-5151, 5154

- 강원 033-250-2800

- 인천 032-715-4890

- 충북 043-857-9104

 

'정책금융기관 및 업권별 협회 상담창구'

- 산업은행 1588-1500

- 신보중앙회 1588-7365

- 수출입은행 02-3779-6254

- 은행연합회 02-3705-5000

- 기업은행 1566-2566

- 생명보험협회 02-2262-6600

- 신용보증기금 1588-6565

- 손해보험협회 02-3702-8500

- 저축은행중앙회 02-397-8688

- 농협중앙회 1661-2100

- 여신금융협회 02-2011-0700

- 수협중앙회 1588-1515

- 신협중앙회 1566-6000

- 산림조합중앙회 1544-4200

- 새마을금고중앙회 1599-9000

- 중소벤처기업 진흥공단 1811-3655

- 소상공인시장 진흥공단 1357

- 기술보증기금 1544-1120

배너


전체뉴스

더보기

경기도

더보기
수원특례시의회 이재식 의장, ‘군용비행장 소음영향도 조사 주민 사업설명회’참석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수원특례시의회는 3일, 영통푸르지오 아파트를 다시 찾아 입주민들과 간담회를 갖고 생활불편 민원에 대한 현장 의견을 청취하며 주요 현안에 대한 해결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 방문 이후 지속 제기된 생활불편 사항에 대한 후속 대응 차원에서 마련됐으며, 이재식 의장을 비롯해 이희승 보건복지위원장, 염태영 국회의원, 아파트 입주자 대표, 수원시 공동주택과・도시개발과 관계 공무원 등이 참석해 입주민들과 소통의 시간을 가졌다. 지난번 논의됐던 광장 내 배전판은 입주민이 요청한 위치로 이전이 진행 중이며, 현장에서는 인근 아파트와의 경계 식재 및 안전 울타리 설치 필요성 등 주요 민원이 다시 한번 공유됐다. 이에 대해 참석자들은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갔다. 특히 염태영 국회의원은 해당 민원의 조속한 해결을 위해 사전 조율은 물론 관계 부서와의 실무 협의에도 적극 나서며, 입주민 불편 해소에 큰 역할을 했다. 이재식 의장은 “입주민 여러분의 불편을 해소하고 안전한 주거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시정의 기본 책무”라며, “수원특례시의회는 관계 부서


문화예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