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기반시설관리위…선제적 기반시설 관리 구체화

17개 관리계획 수립·25년까지 57조원 투자…국민생활 안전환경 강화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정부는 12월 28일 국무총리가 위원장인 제2차 기반시설관리위원회에서 6개 중앙부처 소관 15종 기반시설과 서울 및 광주시의 중장기 실시계획을 담은 제1차 기반시설 관리계획(2020~2025)을 심의·의결(서면)했다고 밝혔다.


이번 관리계획은 제1차 위원회(2020.4) 이후 4개의 기반시설 분과위원회를 통해 총 11차례 사전 검토를 거쳐 마련되었으며, 중앙부처 및 광역지자체의 소관 시설 및 기관별로 수립되었다.


관리계획에는 시설의 노후도, 안전등급 등 기반시설의 현황을 정리하고, ’25년까지의 소관 기반시설 관리목표를 제시하였으며, 관리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5년간의 점검·진단, 실태조사, 보수·보강계획과 교체·신설 등의 실시계획을 구체화하였다.

① (도로·철도·공항 등) A·B 등급 95% 수준의 양호한 상황으로 지속 유지

② (항만·어항 등) D, E 등급(항만·어항 8개) 시설을 C등급으로 상향 보수

③ (지하관로 등) 송유관, 열수송관은 신규 등급 부여, C등급이상 유지


또한, 계획기간 내 관리목표 달성을 위해 과거 5년간의 비용보다 약 91% 증가된 총 57조원, 연평균 9.6조원(국비 6.9조, 공공·민간 2.7조)이 소요되는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와는 별도로 위원회에서는 ‘제1차 기반시설 관리 기본계획(2020~2025)’ 수립 이후 이행사항도 보고되었다.


먼저, 노후 기반시설에 대해 선제적 관리를 위해 ‘21년 기반시설 안전강화 정부예산도 20년 대비 약 13% 증가된 6.0조원을 편성하였고, 우수 지자체를 대상으로 공모사업을 통해 예산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자발적인 참여와 안전투자를 유도하고 촉진하도록 하였다.


15종 기반시설 전체에 대해 시설제원, 노후도, 보수보강 이력 등을 데이터베이스(DB)화하고, 빅데이터 분석으로 취약지역과 시설을 과학적으로 규명하는 ‘인프라 총조사’와 ‘기반시설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사업도 본격 시작(2020~2023)하였고, 건설부터 유지관리 단계까지 시설물의 생애주기 전반의 안전관리 업무를 지원하는 ‘국토안전관리원’을 설립(2020.12)하고,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지속가능한 기반시설 관리정책 포럼’도 구성(2020.11)하였다.


위원회는 이번 관리계획 수립으로 15종 기반시설 및 지자체는 동일한 목표와 체계를 가지고 관리할 수 있게 되고, 미래 투자비용도 전망할 수 있게 되었으며, 내년에는 나머지 광역지자체의 관리계획의 조속한 수립과 기초지자체 등 관리주체의 실행계획 수립을 통해 관리계획의 이행 상황을 점검하고 성과를 가시화해 나가기로 하였다.


정부는 앞으로 선제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체계를 통하여 ‘때를 놓치지 않는 투자로 미래 세대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도록 기반시설을 관리해 나갈 방침이다.

배너


전체뉴스

더보기

경기도

더보기


문화예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