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교육

농촌진흥청, '망고' 화분 매개 꿀벌·뒤영벌 사용하세요

파리 대신 꿀벌‧뒤영벌 이용해 고품질 망고 안정적 생산 가능해져

 

(뉴스인020 = 김나현 기자) 농촌진흥청은 꿀벌과 뒤영벌로 망고를 착과시키는 표준이용기술을 개발해 소개했다.

 

망고는 타가수분 작물로, 주 생산지인 제주에서는 수산물로 파리를 유인한 후 화분매개용으로 이용하고 있다. 최근 내륙지역에서도 망고 재배가 늘면서 수급이 어려운 파리 대신 꿀벌이나 뒤영벌을 이용하고자 하는 농가가 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꿀벌이나 뒤영벌 이용 농가의 편의를 돕기 위해 망고의 수정 시기와 재배면적에 따라 화분 매개용 벌 수 조절 등 명확한 이용기준을 마련, 소개했다.

 

꿀벌= 40그루당 7,500마리(1통)를 이용한다. 산란 중인 여왕벌과 일벌로 벌무리를 구성하고, 벌통 내에서 일하는 내역벌과 벌통 밖에서 꿀과 화분을 수집하는 외역벌 비율이 같아야 한다.

 

꿀벌 방사 후 3주가 지나면 벌통을 검사한다. 한 달에 1회 대용화분을 공급해 여왕벌 산란을 유지한다. 수분할 때 비닐온실 내 온도는 25~30도로 관리한다.

 

뒤영벌= 40그루당 120마리(1통)를 이용한다. 벌집이 밝은 노란색을 띠고, 벌집을 살짝 두드렸을 때 ‘윙’ 소리가 크게 들리는 벌무리를 고른다. 새로 나올 일벌 유충과 번데기가 충분한지도 확인한다. 뒤영벌 벌통 위에는 그늘막을 설치해 직사광선을 차단한다.

 

꽃이 10% 정도 폈을 때 뒤영벌을 방사한다. 2개 이상의 벌통이 온실에 들어갈 경우, 벌통을 한 번에 넣지 말고, 첫 벌통을 넣고 2~3주 후에 두 번째 벌통을 넣는다. 뒤영벌은 수명이 짧으므로 벌통을 투입한 지 40일 후 벌통을 교체한다. 수분할 때 비닐온실 내 온도는 25~30도로 관리한다.

 

꿀벌과 뒤영벌을 표준이용기준에 따라 이용하면, 임의로 이용했을 때보다 꿀벌은 10아르(a)당 74만 원, 뒤영벌은 10아르당 71.8만 원 더 수익을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망고 생산량도 10아르당 30% 증가했다.

 

농촌진흥청은 망고에 적용할 수 있는 화분 매개용 벌 이용 표준 지침서를 발간해 보급할 예정이다.

 

농촌진흥청 농업생물부 방혜선 부장은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활용하면 수급이 어렵고 위생 문제가 있는 파리를 대체하고, 내륙지역에서도 안정적으로 망고를 생산할 수 있다.”라며, “앞으로도 여러 작물에서 화분 매개용 벌을 이용해 고품질 농작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지속해서 연구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배너


전체뉴스

더보기

경기도

더보기
봄기운 가득 신안, ‘2025 피아노섬 축제’ 열려.."피아노의 섬(자은도)과 피아노의 고향(이탈리아)이 만나는 특별한 순간"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피아노의 섬 자은도에서 제3회‘2025 피아노섬 축제’가 개최된다. 오는 4월 26일부터 27일까지 ‘피아노의 섬 자은도! 피아노의 고향 이탈리아와 만나다!’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피아노섬 축제는 세계적 음악가들이 대거 참여한다.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피아노 연주자이자 소니 클래식 전속 음악가인 안드레아 바께티, 영화 음악의 거장 엔리오 모리꼬네와 음악적 동지이자 21년간 알바 뮤직 페스티벌(ALBA Music Festival)을 이끌어 온 플루트 연주자 쥬세페 노바, 그리고 파바로티 이후 이탈리아 최고의 테너로 불리는 알베르토 프로페타가 참여해 감동적인 무대를 꾸민다. 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명성이 높은 이탈리아 명품 피아노 파지올리를 직접 감상할 수 있다. 파지올리는 이탈리아 장인의 손길로 제작된 최고급 그랜드 피아노다, 모든 과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파지올리는 3m 이상의 크기를 자랑하며 알프스 동부 계곡에서 자란 가문비나무로 만들었다. 국내 최고의 조율사가 정교하게 조율한 완벽한 피아노 음색을 경험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국내에서는 빼어난 지성과 따뜻


문화예술

더보기